코딩의 숲 2023. 3. 7. 17:37

컴퓨터 네트워크는 서로 연결하기를 원하는 시스템들의 집합체이다.

그러기위해서는 각 호스트별로 통일화된 연결방식이 필요한데 그래서생겨난것이 국제표준화단체(ISO)에서 제시한

OSI 7  Layer 이다.

 

system=host

DHCP=자동 IP할당

 

 

지금부터는 각각의약어에 대해서 선입견없이 보아야된다.(내가생각한 뜼이랑 다를수있기 때문 머리를비우고 외우자)

네트워크:하드웨어적인 전송매체를통해 서로연결되어 데이터를 공유하는시스템의 집합

 

인터페이스:시스템과 전송매체의 연결 지점에 대한 규격[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두 가지 네트워크 장비 또는 프로토콜 계층이 연결되는 지점. 일반적으로 컴퓨터와 개인 또는 공용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위해 실제 NIC(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)로 표시된다. 그러나 소프트웨어 전용 구성 요소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.](출처:https://learn.microsoft.com/ko-kr/windows/win32/network-interfaces)[ 두 가지 네트워크 장비 또는 프로토콜 계층이 연결되는 지점]

 

프로토콜:시스템이 데이터를 교환할때 소프트웨어적(논리적으로 포맷을 맞춰줌, 직접 전송X)으로 동작하는 통신 규칙

 

표준화:인터페이스와 프로토콜은 연동 형식의 통일이 필요!

 

 

전송 매체:EX)Wifi,광케이블,LTE,등등

시험포인트

 

인터넷이란?

정답:IP라는 네트워크프로토콜이 핵심적인 역할을하는 네트워크의 집합체이다.

 

네트워크란?

정답:서로연결하기를 원하는 시스템들의 집합이다.

 

프로토콜과 인터페이스의 상하관계는?

프로토콜:상하관계 X

인터페이스:상하관계O

 

 

시스템:내부 규칙에 따라 자율적으로 동작하는 대상이다. 

 

복습

인터페이스:시스템과 시스템을 연결하기위해 표준화된 접속지점

(앞에서 말했듯 소프트웨어적인 관점과 학드웨어적인 관점이모두 존재함 EX)RS-232C, USB, 함수이름과 매개변수

또한 논리적인 상하구조가 아니며 양방향 or 단방향으로 데이터를 보낼수있음)

전송 매체:데이터를 전달할 때 필요한 물리적인 전송 수단

네트워크:둘 이상의 컴퓨터와 이들을 연결하는 링크의 조합

인터넷:모든 네트워크가연결된 통합네트워크

(데이터 전달 기능에 한해서는 공통으로 IP프로토콜 사용)

표준화:서로다른 시스템을 연동하기위한 형식

각각의 데이터가 라우터를거처 전송된다. 라우터는 소규모 네트워크에서 대규모네트워크로 갈때 필요하다.

시스템의 구성

 

네트워크에서 시스템은 크게 3가지로 나누어진다.

노드:데이터를 주고받을수있는 모든것을 지칭

라우터:인터넷 내부를구성하며 기본적으로 데이터 전송기능을 포함

호스트:인터넷 바깥쪽에 연결되며 유저들의 네트워크 창구역할을함 쉽게말해서 노드 중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컴퓨팅 시스템을 갖춘 기기를 호스트(Host)라고한다.(걍 너가쓰꼬있는 컴퓨터)

참고(https://1004haja.tistory.com/entry/22-%EB%84%A4%ED%8A%B8%EC%9B%8C%ED%81%AC-%EB%B6%80%EB%B6%84%ED%98%B8%EC%8A%A4%ED%8A%B8-%EB%B6%80%EB%B6%84-%EA%B0%9C%EB%85%90%ED%98%B8%EC%8A%A4%ED%8A%B8host-%EB%9C%BB)

 

22_ 네트워크 부분/호스트 부분 개념/호스트(host) 뜻

네트워크 부분 호스트 부분의 개념을 알아보자. 여기서 말하는 네트워크는 하나의 브로드캐스트 영역(Broadcast Domain)임. 하나의 PC가 데이터를 flush 했을 때 그 데이터를 라우터를 거치지 않고도

1004haja.tistory.com

웹 서버가 대표적인 서버에 해당한다

구조적 모델

항상 맨 아래계층에서 데이터 전송과 수신이 이루어진다.

계층별 기능

물리 계층:호스트를 전송매체와 연결하기위해 필요한 인터페이스 규칙과 전송매체의 특성을 다룸(유선,무선 둘다있음)

[데이터를 규정에 맞게 다듬어주기만할뿐 오류를 수정해주지는 않음]

데이터 링크 계층:물리계층 에서의 데이터의 오류를 제어

네트워크 계층:데이터가 올바른경로로 도달할수있도록 지원

전송계층:프로세스(하위계층(물리,데이터,네트워크) 과 상위계층 (밑에 나오는 계층))간의 안전한 전송 지원

세션계층:응용 환경에서 사용자 간 대화 개념의연결 쉽게말해 상위의 논리적인 연결,대화의 개념

[송수신이 멈춘지점에서 부터 이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]

표현 계층:정보를 교환하는 호스트들이 표준화된 방법으로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게 해줌

[EX)JPEG,ZIP압축 등등]

응용 계층:일반사용자를 위한 다양한 네트워크 지원

 

복습

프로토타입:서로다른 시스템과의 통신에 필요한 규칙,상위계층에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서비스라고부름

양쪽 호스트에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토콜 스택이 존재하며 이는 계층구조로 이루어진 프로토콜의 집합이다.

TCP:양방향 통신 속도⬇️ 정확성⬆️

UDP:단방향 통신 속도⬆️ 정확성⬇️

 

 

네트워킹:네트워크와 네트워크의 연결을 의미,연결이 많아질수록 복잡도⬆️, 결국 인터넷도 이러한 네트워크가 반복구조로 연결된 시스템이다.

이러한 인터네트워킹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게이트웨이라고 부름

게이트웨이의 종류에는 3가지가있다.

리피터:먼 거리로인해 약해진 물리적신호를 증폭 시켜줌

브리지:리피터의 기능에 데이터링크의 기능이 추가된것,물리계층에서 발생한 오류를 해결

라우터:물리계층,데이터링크,네트워크 계층의 기능을 지원.[네트워크계층은 경로선택 기능을 제공해야하므로 네트워크와 호스트에 대한 정보를 라우팅 테이블에 저장 ]

프로토콜을 전화로 표현한것

데이터의 단위